전체 글 (63) 썸네일형 리스트형 코틀린의 데이터 타입 1 Kotlin 의 자료형 => Kotlin 에는 값을 저장하는 Value Type 이 없습니다. => Kotlin 의 모든 자료형은 Reference Type 입니다. Val n : Int = 10 n -> 10 의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 Value Type n -> 10 이 저장된 곳의 참조를 저장하는 것이 Reference Type 코틀린은 전부다 Reference Type ! 스위프트 자바스크립트 등의 스크립트 언어는 모두 동일하다. 1. 숫자 자료형 - Number 클래스의 하위 클래스 Byte, Short, Int, Long, Float, Double => Long 까지는 정수이고 Float과 Double은 실수 => Byte는 파일의 내용이나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때 이용 => 일.. 코틀린 : 매개 변수의 개수를 설정하지 않고 대입할 수 있는 기능 varargs varargs => 매개 변수의 개수를 설정하지 않고 대입 할 수 있는 기능! => 매개 변수를 만들 때 앞에 varargs를 붙여주면 매개 변수의 개수에 상관 없이 대입 받는다.. => 내부에서는 매개 변수를 Array로 간주를 한다. fun 이름(varargs 이름:Int) 의 형태이면 자료형 1개가 아니고 0개 이상 주면 된다! 이름(1) 이름(1, 2) 이름(1, 2, 3) => 문법적으로는 존재하는데 SDK 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kotlin: 클래스의 메소드 오버라이딩? 클래스의 메소드를 오버라이딩 할 때는 상속을 하지만.. 기능을 추가할 때는 상속을 하지 않고 클래스의 확장을 이용! infix fun 기존 클래스 이름.함수이름(매개 변수 이름: 자료형... 리턴 타입) { 함수 내용 } 위와 같이 했을 경우 기존 클래스에 함수가 추가 된다!! 윈도우 7 쓰다가 10 쓸때 7을 지우고 가지 10위에 안덮는다.. (마이크로소프트도 C#에 이 기능이 있다.) 매킨토시는 포맷을 잘 안하지만! 업데이트 할 때 아주 중요하니 알아두어야 한다. kotlin 함수에 대한 기본 - 함수 호출 함수이름 (매개 변수를 대입) => 리턴타입이 있는 경우에는 함수의 호출 결과를 변수에 저장 정수 2개를 받아서 합계를 구해서 리턴하는 함수 fun func2(Int, Int):Int => 이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수 2개를 대입해야 하고 결과로 정수가 나온다. - Kotlin 함수를 만들 때 특징 1) return 이 없으면 Unit 이라고 하는데 생략이 가능 2) 매개 변수의 값은 기본적으로 val => 매개 변수 값은 변경 할 수 없다. 함수의 내용이 한 줄이면 {} 를 생략하고 = 과 내용만 작성 가능 => 다른 개발자가 만든 것이면 알아둬야한다. fun func2(first:Int, second:Int):Int = return first + second 한 줄의 코드가 ret.. 실리콘밸리 개발자 근무 후기 실리콘 밸리에서 개발자로 일해봤던 경험을 끄적여 보려고 한다. 내가 근무했던 지역은 캘리포니아의 샌프란시스코와 산호세 중간에 위치한 샌머테이오의 스타트업 회사이다. 9시에 출근해서 6시에 퇴근하는 국내 일반 회사와 유사했지만, 그 안에서의 환경은 상당히 다르게 느껴졌다. 이전에 일하던 곳은 국내 스타트업이었으나, 조금 딱딱한 분위기였던지라 차이점이 확연히 느껴졌던 듯 하다. 내가 일했던 영역은 가상 컴퓨터 SW 영역이었다. 운영체제와 리눅스를 잘 다루는 것이 중요했다. 나의 할당 업무량만 충족 한다면 상당히 자유로운 분위기였다. 그 중 많은 걸 생각하게 해줬던 것 위주로 4가지 이야기해보겠다. # 업무 영역의 자율성 내가 일했던 곳이 작은 회사였기 때문도 있지만, 내가 하고자 하는 업무를 쉽게 차지할 수.. 직장인 커리어 어떻게 관리할까? 직장에 다니고 있기 때문에 간과하는 것들이 있다. 다음 직장을 위해 준비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데, 현 직장에 치여 그렇지 못한 경우들을 주변에서 많이 보았다. 직장을 다니면서 부담 갖지 않고, 자신의 커리어를 관리하는 몇 가지 방법들을 공유한다. # 1. 링크드인 프로필 관리 링크드인은 해외에서 취업 경로로 아주 흔하게 사용하는 매개체이다. 국내에서는 많이 활성화 되고 있지는 않지만, 잘 관리해둔다면 꽤나 좋은 곳에서 스카웃 제의와 면접 제의가 오는 통로가 된다. 들으면 알만한 IT 업체도 이를 통해 인력을 충원하기도 할 정도이니, 프로필 관리는 필수다. 대부분 학력과 경력사항이 주를 이루지만, 요즘은 다음에서 이야기할 코딩테스트 결과나 온라인 자격증을 함께 링크 걸어두어 관련 지식을 어필할 수 .. 더 나은 개발자가 되기 위한 보통 개발자의 평범한 이야기 안녕하세요. 데플리입니다. 더나은 개발자가 되기 위해 노력한 이야기들과 평범한 이야기를 올립니다 이전 1 ··· 5 6 7 8 다음